👁️🗨️ 프로젝트 개요
- 데이터 출처
- 재직 중인 직장 귀속 자료 (BambooHR)
- 문제 상황
- 현재 미국 본사 직원들의 퇴사율이 높아 체감상 조직 안정성이 저하되고 있으며, 퇴사자 특성과 퇴사의 주요 원인을 파악하지 못해 효과적인 대응 전략이 부족한 상황이다.
- 목적
- 퇴사율 분석을 통해 문제를 파악하고, 데이터 기반 대응 전략으로 조직 안정성과 인재 관리 효율성 증진
- 기간 / 인원
- 2024년 12월 - 2025년 1월 (약 4주간) / 1인
- 분석 기법
- 분석 도구
- Google Colaboratory
- Python
- Tableau
- MS Excel
👁️🗨️ 프로젝트 요약
- 문제 정의
- 높은 퇴사율로 인해 조직 안정성이 저하되는 상황
- 퇴사자의 주요 특성과 이탈 원인에 대한 구체적인 파악 부족
- 데이터 기반의 효율적인 대응 전략 및 개선 방안 부재
- 주요 활동
- 데이터 EDA를 통해 퇴사자 특징 및 주요 퇴사 요인 분석
- 퇴사자의 근태 패턴 분석을 통해 퇴사 전 징후 파악
- 결정 트리(Decision Tree) 분석을 통해 퇴사 예측 규칙 도출 및 해석
- 전체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퇴사 리스크에 대한 인사이트 도출
- 주요 성과
- 퇴사자 대부분이 0~1년 차 Entry-Level 엔지니어임을 확인
- 1명 퇴사 시 연평균 손실 $52,194 발생
- 온보딩 프로그램 강화 필요성 확인
- 무급 휴가 6.25일 초과 사용 직원 → 퇴사 위험군으로 식별 가능
👁️🗨️ 프로젝트 상세
사전 이해
탐색적 데이터 분석
심층 분석
분석 결과
프로젝트 회고